본문 바로가기
영화와 산업전문간호사의 만남

비키퍼와 산업전문간호사와의 만남

by 향선생 2024. 8. 13.

영화 "비키퍼" (Vikram Vedha, 2017)에서 등장하는 주요 직업군들은 다음과 같다:

  1. 경찰: 주인공 중 한 명인 비크람은 경찰이다. 그는 범죄를 해결하고 범인을 추적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2. 범죄자: 다른 주인공인 베다, 즉 범죄자는 불법 활동을 통해 돈을 벌고, 경찰과의 대립 속에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3. 법의학 전문가: 사건의 증거를 분석하고 범죄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일반 시민: 영화 속에서 일반 시민들도 등장하지만, 그들의 직업군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이 영화는 경찰과 범죄자 간의 심리적 대립과 갈등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두 인물의 직업적인 역할이 이야기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경찰이 노출될 수 있는 유해인자

경찰이 직무 수행 중 노출될 수 있는 유해 인자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이들은 경찰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주요 유해 인자들이 있다:

  1. 물리적 위험: 총기, 칼, 폭발물 등과 같은 무기나 물리적 공격에 노출될 수 있다. 이는 범죄 수사 및 체포 작전 중 발생할 수 있다.
  2. 정신적 스트레스: 범죄와 관련된 사건을 처리하면서 겪는 정신적 부담, 트라우마, 스트레스는 경찰의 정신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 화학물질: 범죄 현장, 특히 마약 제조와 관련된 장소에서 유해한 화학물질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는 독성 화학물질이나 유해한 가스 등이 포함된다.
  4. 감염병: 범죄 현장이나 구금된 용의자와의 접촉을 통해 감염병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 특히, 병원균이나 바이러스에 노출될 수 있다.
  5. 환경적 위험: 폭력적인 상황이나 범죄 현장에서의 물리적 환경으로 인해 부상의 위험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위험한 건축물, 미끄러운 바닥, 불안정한 구조물 등이 있을 수 있다.
  6. 사회적 위험: 경찰은 범죄자나 그 지지자들로부터의 보복이나 위협에 노출될 수 있다. 이는 경찰의 개인적인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7. 사회적 압력: 경찰 업무는 종종 공공의 기대와 압력에 직면하게 되며, 이는 직무 수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경찰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유해 인자들에 대한 인식과 예방 조치가 필요하며, 적절한 교육과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경찰 발병 위험 직업병

경찰 직업에서 발병할 수 있는 직업병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경찰은 다양한 환경에서 근무하며,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동시에 겪기 때문에 여러 직업병에 노출될 수 있다. 주요 직업병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PTSD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범죄 현장, 폭력적인 사건, 인명 구조 등에서 겪는 심리적 트라우마로 인해 PTSD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극심한 스트레스와 감정적 고통을 동반한다.
  2. 우울증 및 불안 장애: 지속적인 스트레스, 긴장, 트라우마로 인해 우울증과 불안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경찰은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와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에 정신 건강 문제의 위험이 크다.
  3. 심혈관 질환: 고위험 상황에서의 긴장감과 스트레스, 불규칙한 근무 시간, 신체적 부담 등으로 인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관상동맥 질환 (Coronary Artery Disease, CAD),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MI), 협심증 (Angina Pectoris) 등
  4. 심부전 (Heart Failure): 심장이 충분한 혈액을 펌프하지 못해 신체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상태로, 급성 또는 만성 심부전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5. 부정맥 (Arrhythmia)
  6. 소화기계 질환: 불규칙한 식사 시간과 스트레스로 인한 소화기계 질환, 특히 위염이나 소화성 궤양이 발생할 수 있다.
    ->위염 (Gastritis), 위식도 역류병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위궤양 (Gastric Ulcer), 십이지장 궤양 (Duodenal Ulcer), 과민성 대장 증후군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등
  7. 근골격계 질환: 체포나 수색 중 무거운 장비를 착용하거나 물리적으로 힘든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근골격계 질환, 예를 들어 허리 통증이나 근육 부상이 발생할 수 있다.
    ->요통 (Low Back Pain), 추간판 탈출증 (Herniated Disc), 경추추간판 탈출증 (Cervical Disc Herniation), 관절염 (Arthritis), 근육통 (Myalgia) 등
  8. 호흡기 질환: 범죄 현장에서의 유해 물질 노출이나 화학 물질에 의한 호흡기 질환의 위험이 있다. 이는 특히 범죄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다.
    ->천식 (Asthma), 만성 폐쇄성 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폐렴 (Pneumonia), 결핵 (Tuberculosis, TB), 기관지 확장증 (Bronchiectasis) 등
  9. 청력 손상: 총소리나 사이렌 등으로 인한 반복적인 소음 노출로 인해 청력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10. 피로와 수면 장애: 불규칙한 근무 시간, 잦은 야근, 과도한 업무로 인해 만성적인 피로와 수면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경찰은 이러한 직업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예방과 치료를 위한 적절한 지원과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정신 건강 지원, 적절한 휴식과 스트레스 관리 등은 경찰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관련코샤가이드
*작업환경상 건강유해요인에 대한 위험성평가 지침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의 2 위험성평가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보건규칙”이라 한다) 제3편 제4∼6, 8, 12장의 소음·진동, 이상기압, 온도·습도, 병원체, 근골격계부담작업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규정에 의거 작업환경상 건강유해·위험요인에 대한 위험성평가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작업환경상 건강유해·위험요인에 대한 위험성 평가 시에 적용한다.

H-205-2018 작업환경상 건강유해요인에 대한 위험성평가 지침.pdf
0.21MB

 

*직장에서의 뇌심혈관계질환 예방을 위한 발병위험도 평가 및 사후관리지침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 이라한다) 제669조(직무스트레스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조치)와 관련하여 근로자의 작업관련 뇌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발병위험도평가 및 사후 관리에 대해 사업주와 근로자 및 담당 의사가 지켜야 할 사항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직장에서 근로자의 뇌.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하여 실시하는 발병위험도평가 및 사후관리를 위해 적용한다.

H-200-2018 직장에서의 뇌심혈관발병 위험도 평가 및 사후관리지침.pdf
0.47MB

 

* 상대위험순위결정(Dow and Mond Indices)기법에 관한 기술지침

관련 규격 및 자료

 - 국제노동기구(ILO) 협약 174 중대산업사고 예방제도

 - 미국 산업안전보건법(OSHA)

 - Dow’s Fire & Explosion Index Hazard Classification Guide, 7th Ed. (1994)

P-177-2022_상대위험순위결정(Dow and Mond Indices)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df
4.74MB

 

* 사업장의 중대재해 발생 시 급성 스트레스에 대한 조기대응 지침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제5 사업주의 의무”,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69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조치에 의거 중대재해, 중대사고가 사업장에 발생했을 때 급성 스트레스에 조기대응하여 이차피해를 최소화하고 복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사업장에서 해야 할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중대재해, 중대사고가 발생한 사업장에 적용한다.

H-36-2021 사업장의 중대재해 발생 시 급성 스트레스에 대한 대응 지침.pdf
0.75MB

 

* 직무 스트레스 평가에 관한 지침

Z-34-2022_직무 스트레스 평가에 관한 지침.pdf
0.12MB

 

 

*해당 내용 추가질문 또는 영화 추천은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