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와 산업전문간호사의 만남
🔫 추격자 (2008)
향선생
2025. 5. 10. 02:09
– 여성 실종 사건을 쫓는 전직 형사의 추격
📌 하정우의 소름 돋는 연기와 리얼한 연출
🕵️ 형사, 거칠고 멋져 보이지만 건강은 괜찮을까?
『추격자』의 전직 형사 엄중호는 특유의 직감과 거친 행동으로 범인을 추격합니다. 영화 속 모습은 비현실적일 정도로 강하지만, 현실의 형사들은 과연 건강하게 일하고 있을까요?
👨⚖️ 형사 및 경찰관이라는 직업, 정말 정의롭기만 할까?
‘정의의 수호자’로 불리는 경찰.
하지만 실제 업무는 단순한 범죄 해결을 넘어,
▶ 장시간 근무
▶ 수면 부족
▶ 강도 높은 스트레스
▶ 예측 불가능한 위협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이들은 감정노동과 신체적 위험이 상존하는 환경에서 일합니다. 영화는 극적이지만, 현실은 더 녹록지 않죠.
🔥 형사들이 마주하는 유해요인은?
- 심리적 유해요인:
- 강력사건 수사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PTSD)
- 시민 민원과 감정노동으로 인한 우울 및 불안 장애
- 물리적 유해요인:
- 야간근무, 교대근무 → 생체리듬 교란
- 범죄자 제압 중 부상 위험
- 화학·생물학적 유해요인 (현장 출동 시):
- 약물 사용자, 혈액 감염병 노출 가능성
💥 결국 생기는 직업병은?
- 심혈관질환 (고혈압, 심근경색 등)
- 근골격계질환 (요통, 무릎 관절염 등)
- 불면증 및 수면장애
- 우울장애, PTSD
- 청력 손실 (사격 훈련 및 폭력 현장 노출 시)
정신적, 육체적으로 모두 위협받는 직업군입니다.
🧑⚕️ 보건관리자의 시선으로 본다면?
형사 및 경찰 직군은 분명 고위험 직업군입니다.
따라서 조직 차원의
✔ 정기 건강검진
✔ 심리 상담 지원
✔ 충분한 휴식과 교대근무제도 개선
✔ 감정노동 예방 교육
이 꼭 필요합니다.
특히 스트레스 관리는 이들의 생존과도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 마무리하며
『추격자』는 스릴러 장르이지만,
형사라는 직업을 통해 우리가 미처 보지 못했던
숨겨진 건강 리스크를 떠올리게 합니다.
우리 사회의 안전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형사들.
그들의 건강과 회복에도 관심이 필요한 때입니다.
📚 참고자료
- 한국공안행정학회 「한국 지역경찰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및 직무스트레스 실태 조사」
- 직업건강협회 산업보건자료집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현장경찰관의 근무 환경 및 행태 진단
- 산업안전보건공단 교대작업자의 만성질환 관리수준 평가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