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와 산업전문간호사의 만남

가디언즈오브갤럭시3와 산업간호사의 만남

향선생 2024. 5. 26. 23:10
SMAL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 3"에서는 여러 캐릭터들이 다양한 직업과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주요 캐릭터들의 직업 및 역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스타로드 (피터 퀼)**
   - 직업: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의 리더
   - 역할: 팀을 이끌고, 전략을 세우며, 우주에서의 모험을 주도.

2. **가모라**
   - 직업: 전사,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의 멤버
   - 역할: 전투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며, 팀의 도덕적 지침 역할도 함.

3. **드랙스 더 디스트로이어**
   - 직업: 전사,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의 멤버
   - 역할: 주로 힘과 내구성을 바탕으로 전투에 참여.

4. **로켓 라쿤**
   - 직업: 기술 전문가, 무기 제작자
   - 역할: 무기 및 기술 장비를 제작하고, 전투와 작전에서 중요한 역할.

5. **그루트**
   - 직업: 팀의 보호자
   - 역할: 강력한 힘과 독특한 능력으로 팀을 보호하고 지원.

6. **맨티스**
   - 직업: 감정 공감 능력자
   - 역할: 타인의 감정을 읽고 조종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팀을 돕는다.

7. **네뷸라**
   - 직업: 전사,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의 멤버
   - 역할: 전투 능력과 전략적 사고로 팀에 기여.

이 외에도 영화에는 다양한 조연 캐릭터들이 등장하며, 각자 고유한 역할과 직업을 가지고 팀을 돕는다.

#기술 전문가가 노출될 수 있는 유해인자

기술 전문가는 다양한 환경에서 일하며 여러 유해인자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유해인자는 신체적, 화학적, 생물학적, 심리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유해인자들이 있을 수 있다:

### 신체적 유해인자
1. **소음**: 기계 장비, 서버실의 냉각 장치 등에서 발생하는 지속적인 소음.
2. **진동**: 공구나 장비의 사용으로 인한 진동.
3. **조명**: 밝거나 깜빡이는 조명, 컴퓨터 화면의 블루라이트.
4. **방사선**: 전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에서 나오는 전자기파.

### 화학적 유해인자
1. **유독 화학물질**: 프린터 잉크, 세정제, 납땜 연기 등.
2. **먼지 및 입자**: 서버실의 먼지, 기계 장비에서 발생하는 미세 입자.
3. **휘발성 유기 화합물 (VOC)**: 전자 기기나 새로운 장비에서 나오는 유해 물질.

### 생물학적 유해인자
1. **곰팡이 및 세균**: 오래된 장비나 서버실의 환기 부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곰팡이 및 세균.
2. **알레르기 유발 물질**: 먼지, 곰팡이 등으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

### 심리적 유해인자
1. **스트레스**: 프로젝트 마감일, 긴 작업 시간, 높은 기대치 등으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
2. **과로**: 장시간 근무와 휴식 부족으로 인한 피로와 과로.
3. **사회적 고립**: 혼자 작업하거나 팀과의 상호작용이 적은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립감.

### 예방 조치
기술 전문가는 이러한 유해인자에 대해 적절한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한다. 예를 들어:
- **적절한 보호 장비 사용**: 소음 차단 헤드폰, 보호 안경, 마스크 등.
- **환기 시스템 설치**: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기 위해 환기 시스템을 설치.
- **정기적인 건강 검진**: 신체적, 정신적 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
- **작업 환경 개선**: 인체 공학적 작업 환경 조성, 정기적인 휴식 시간 보장.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프로그램 참여, 취미 활동 등.

이러한 조치를 통해 기술 전문가는 유해인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건강한 작업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기술 전문가 발병 위험 직업병

기술 전문가는 다양한 환경에서 일하며 특정 직업병에 걸릴 위험이 있습니다. 주요 직업병은 다음과 같다:

### 신체적 직업병
1. **근골격계 질환**
   - **목, 어깨, 팔, 손목 통증 (일명 RSI, Repetitive Strain Injury)**: 장시간 컴퓨터 작업으로 인한 반복적인 움직임으로 발생.
   - **허리 통증**: 장시간 앉아서 작업하는 동안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인한 허리 문제.
2. **눈 관련 질환**
   - **컴퓨터 시각 증후군 (CVS, Computer Vision Syndrome)**: 장시간 화면을 응시하면서 발생하는 눈의 피로, 건조함, 두통.
3. **청각 손실**
   - **소음성 난청**: 기계 장비나 서버실의 지속적인 소음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발생.
-> 추간판 탈출증 (허리 디스크, Herniated Disc), 퇴행성 디스크 질환 (Degenerative Disc Disease) 등

### 화학적 직업병
1. **호흡기 질환**
   -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서버실의 먼지, 청정제, 화학물질 등으로 인한 호흡기 문제.
2. **피부 질환**
   - **접촉성 피부염**: 유독 화학물질이나 청소용 화학제품과의 접촉으로 인한 피부 질환.

### 심리적 직업병
1. **스트레스 관련 질환**
   - **만성 스트레스**: 프로젝트 마감일, 긴 작업 시간, 높은 기대치 등으로 인한 만성 스트레스.
   - **번아웃 증후군 (Burnout Syndrome)**: 지속적인 과로와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적, 신체적 소진.

2. **정신 건강 문제**
   - **우울증, 불안증**: 과중한 업무 부담, 사회적 고립 등으로 인한 정신 건강 문제.

### 예방 및 관리 방법
기술 전문가는 이러한 직업병을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1. **적절한 작업 환경 조성**
   - 인체 공학적 의자와 책상 사용, 정기적인 휴식, 적절한 조명과 환기 시스템 설치.
   - 작업 중 자주 스트레칭을 하고, 정기적인 신체 활동을 통해 근골격계 건강 유지.

2. **눈 보호**
   - 화면 밝기 조절, 적절한 거리 유지, 주기적인 눈 운동,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 사용.

3. **소음 관리**
   - 소음 차단 헤드폰 사용, 소음이 적은 환경에서 작업.

4. **정기 건강 검진**
   -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건강 상태 점검.

5. **스트레스 관리**
   -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프로그램 참여, 취미 활동, 명상, 요가 등.

6. **안전한 화학물질 사용**
   - 화학물질 사용 시 보호 장비 착용, 작업 공간의 환기 유지, 안전 지침 준수.

이러한 예방 조치들을 통해 기술 전문가는 직업병의 위험을 줄이고 건강한 작업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관련 코샤가이드

목공용 기계의 소음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3편 제4장(소음 및 진동에 의한 건강장해의 예방)에 의거 목공용 기계 사용사업장에 소음 제어 대책 프로그램, 기술적 제어 대책, 개인 청력 보호구 등 필요한 소음 제어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목공용 기계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제어할 경우에 적용한다.

M-62-2012 목공용 기계의 소음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df
0.11MB

 

작업장의 소음제어에 관한 기술지침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3편 제4장(소음 및 진동에 의한 건강장해의 예방)에 의거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의해 발생하는 위험상황 등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제어할 때에 적용한다.

M-51-2023 작업장의 소음제어에 관한 기술지침.pdf
0.25MB

 

국소진동공구 취급 근로자의 보건관리지침

H-177-2015 국소진동공구 취급근로자의 보건관리지침.pdf
0.14MB

 

농업용 기계 작업 시 전신진동의 위험성 저감에 관한 안전 기술지침

G-111-2014 농업용 기계작업 시 전신진동의 위험성 저감에 관한 안전기술지침.pdf
0.11MB

 

비파괴 작업근로자의 방사선 노출 관리지침

H-155-2019 비파괴 작업근로자의 방사선노출 관리지침.pdf
0.13MB

 

전리방사선 노출 근로자 건강관리지침

1. 목적

 

이 지침은 전리방사선에 노출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산업안전보건법(이하

“법”이라 한다) 산업안전보건법 제130조(특수건강진단), 동법 시행규칙 제

202조(특수건강진단의 실시 시기 및 주기 등), 제204조(배치전건강진단의 실시 시기)의 규정에 따라 건강진단을 실시하거나, 법 제18조(보건관리자) 및 동법 시행령 제22조(보건관리자의 업무 등), 법 제22조(산업보건의) 제2항 및 동법 시행령 제31조(산업보건의의 직무 등),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편 제7장(방사선에 의한 건강장해의 예방)의 규정에 의하여 보건관리자 및 산업보건의의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전리방사선에 의한 건강장해를 평가하고 근로자의 건강장해를 예방, 관리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전리방사선에 노출되는 근로자의 건강장해를 평가하고 근로자의 건강장해를 예방, 관리하는데 적용한다.

H-62-2021 전리방사선 노출 근로자 건강관리지침.pdf
0.17MB

 

화학물질의 취급 및 시료채취 등에 관한 기술지침

1. 목    적
 
산업용 화학물질의 취급 및 시료채취 등에 따른 안전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화학물질의 취급 및 시료채취 등을 할 때 안전작업에 적용한다. 다만, 일부 보건분야는 관련 기술지침을 따른다. 

디젤입자상물질(원소탄소분석)에 대한 작업환경측정,분석 기술지침

1. 목적
  - 이 지침은 공기 중 디젤입자상물질(원소탄소분석)에 대한 측정 및 분석을 수행할 때 정확도 및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반 사항에 대하여 규정함으로 목적으로 한다. 디젤입자상물질은 현재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작업환경측정 대상 인자는 아니지만,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인간에 대한 발암성물질로 지정하여 사회적으로 관심이 많은 물질이다. 따라서 작업환경 중에서 디젤입자상물질에 대한 평가 관리가 필요하다.

2. 적용범위
  - 이 지침의 적용대상은 작업환경 공기 중 디젤입자상물질(원소탄소분석)의 측정, 분석 및 이와 관련된 사항에 한한다.

A-161-2016 디젤입자상물질(원소탄소분석)에 대한 작업환경측정·분석 기술지침.pdf
0.38MB

 

연소 소각법에 의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처리설비의 기술지침

1. 목적

 

이 지침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하 “VOC”라 한다.) 등의 처리설비 중 연소 소각법에 의한 처리설비의 기술 지침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1) 이 지침은 VOC 등의 화학물질을 대기압 분위기에서 소각처리하는 각종 소각설비의 설치 및 운전에 적용할 수 있다.

 

(2) 이 지침이 적용되지 않는 설비는 다음과 같다.

() 플레어스택(Flare stack)

() 석탄 또는 그 외 고체 연료 연소설비

() 총 공급열량이 44 kW (150,000 Btu/hr) 미만의 가열설비를 갖는 설비

() 고농도 용제(Solvent) 회수 설비로서, (Furnace) 내부에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여 저산소 분위기에서 운전되는 로(Low oxygen atmosphere furnace or oven)

P-66-2021 연소소각법에 의한 휘발성유기화합물 처리설비의 기술지침.pdf
0.46MB

 

직무스트레스 자기관리를 위한 근로자용 지침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69조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건강장해 에방 조치”에 의거 근로자들이 직장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스스로 관리하고 예방하기 위하여 권고할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모든 근로자들에게 적용한다.

H-39-2011 직무스트레스 자기관리를 위한 근로자용 지침.pdf
0.11MB

 

*해당 내용 추가질문 또는 영화 추천은 큰 힘이 됩니다♥

LIST